엑세스는 기본적으로 디자인보기로 시작한다.
01. 입력마스크 : 입력마스크는 입력하는 틀(마스크)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 입력마스크에 사용되는 문자
0 : 0~9까지의 숫자를 필수로 입력해달라는 의미
> : 대문자로 변환된다는 의미
L : A~Z까지의 문자를 필수로 입력해달라는 의미
Q) '코드' 필드에는 숫자 4자와 영문 대문자 1자가 필수 입력되도록 설정하시오.
sol) 0000>L
02. 유효성 검사 규칙: 필드에 유효한 값만 입력되도록 강제하는 기능이다. 이에 어긋날경우 '유효성 검사 텍스트'에 설정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Q1) '보호자연락처'필드의 왼쪽 3글자는 0부터 100사이의 숫자만 입력되도록 설정하시오.
-유효하지 않은 값이 입력되면 '국번이 불분명합니다.' 라고 메시지를 출력할 것
sol.1) Left([보호자연락처] ,3)>=0 And Left([보호자연락처] ,3)<=100
#LEFT함수
LEFT([필드], 반환할 문자수) 의 형태로 사용되고 문자열의 왼쪽부터 지정된 수만큼 반환해줍니다.
Q2) '성명'필드의 이름 사이에 공백이 입력되지 않도록 유효성 검사 규칙을 설정하시오.
-Like 연산자를 사용할 것
-이름 사이에 공백을 입력하면 '공백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라고 메시지를 표시할 것
sol.2) Not Like "* *"
# Like 연산자: Like 뒤에 사용자가 지정한 문자(열)을 비교하고 검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Asterisk; 별표) : 와일드카드 문자로 하나 이상의 문자를 대체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Like "서울*" : 서울로 시작하는 값 검색 (ex: 서울시, 서울시 동작구)
Like "*구청" : 구청으로 끝나는 값 검색 (ex: 강남구청, 마포구청)
Like "*군*" : 군을 포함하는 값 검색 (ex: 전차군단, 용인군민)
Like "* *" : 공백(띄우기)를 포함한 값 검색 (ex: 서울 사람)
Not Like "* *" : 공백(띄우기)를 포함하지 않는 값 검색
Q3) '전자우편' 필드의 문자 사이에는 공백을 입력 할 수 없고, 반드시 '@'가 포함되도록 유효성 검사 규칙을 설정하시오.
- Instr 함수와 Like 연산자를 사용 할 것
-유효하지 않은 값이 입력되면 '올바른 형식으로 입력하세요' 라고 메시지를 출력 할 것
sol3) Instr([전자우편], " ")=0 And Like "*@*"
# Instr함수 : 찾는 문자(열)가 처음으로 나타나는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ex)
Instr("ABC", "B") 라고 한다면 2를 반환한다.
Instr([필드], " ")=0 수식의 의미는 공백을 찾아보았지만 반환값이 0이란 의미이고, 그 말은 공백을 찾을 수 없다는 것
03. 필수 및 IME 모드 속성 설정
이거는 뭐 그냥 문제 보고 이해하자
Q. '코드'필드는 반드시 값이 입력되도록, '전자우편' 필드는 영문 입력상태가 되도록 설정하시오.
이거 행 선택기인데, 저기 필수 칸을 예 로 설정하면 반드시 값이 입력되도록 설정하는 것이고,
IME모드에 영숫자 반자를 선택하면됨
오른쪽 ㅈㄴ끝네 화살표 아랫방향 클릭하면 카테고리 나옴
근데 영숫자 반자라고 쳐도되긴하는데 정확하게 쓰기 위해 카테고리를 이용합시다~
04. 인덱스 속성 설정
Q. '성명'필드에 대해서는 중복가능한 인덱스를 설정하시오
이것도 위랑 똑같이 행선택기에 있음 저기 인덱스 에서 '예(중복가능)' 으로 바꾸면 됨
#마무리
모든 설정이 끝났다면 빠른 실행 도구모음에 있는 저장을 클릭하여 변경한 내용들을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규치관련된 경고 메시지가 뜰 수 있는데 예 눌러주면됨. 그리고 유효성검사 한번 해보면됨 공백넣던가 하는걸로
++++ 2- 15 page 이론들
문서 창 옵션
데이터 형식에 따른 필드 크기는 필요 시에 찾아볼 것
++유효성 검사규칙 예제
<>0 | 0이 아닌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 |
>1000 Or Is Null | 1000보다 큰 값을 입력하거나 비워둬야함 |
>=0 And <=1000 | 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거나 같은 값을 입력하라는 뜻으로 'Between 시작값 And 종료값' 형태로도 사용한다. |
Between 0 And 1000 | |
>=#2021-01-01# And <=#2021-12-31# | -2021년대 값 즉, 2021년 1월 1일 보다 크거나 같고 2021년 12월 31일 보다 적거나 같은 날짜를 입력한다 -날짜 자료 앞뒤에는 # 기호를 붙여야함 . |
Between #2021-01-01# And #2021-12-31# | |
"서울" Or "부산" Or "대전" | '서울', '부산', '대전' 중에서 입력 |
In("서울", "부산", "대전") | |
Len([상품코드]) =5 | [상품코드] 필드의 유효성 검사 규칙에서 사용할 때 [상품코드]의 필드 값을 5글자로 입력 |
이 이외에도 더 있을 거니까 그때마다 확실히 학습해놓을 것
'컴활 1급 실기 자격증 준비 > 엑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0 엑세스 이론서 2. 입력 및 수정 기능 구현-section 1 (0) | 2022.11.29 |
---|---|
000 액세스 이론서 1. DB구축-section 4 (0) | 2022.11.28 |
000 엑세스 이론서 1. DB구축-section 3 (1) | 2022.11.26 |
000 엑세스 이론서 1. DB구축-section 2 (0) | 2022.11.25 |
000 엑세스 이론서 1. DB구축-section 1 (2) (1) | 202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