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
The Basics of Python Chapter04-반복문 2023.09.12 반복문 반복문은 말 그대로 문장을 반복해 만드는 것으로 정해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때 내리는 명렁어이다. 반복문은 모든 프로그램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된다. 반복문은 반복 시작 조건, 종료 조건, 수행 명령으로 구서오디어 있으며 들여쓰기와 블록으로 구분한다. 조건문에 if 라는 키워드가 있듯이, 파이썬의 반복문은 for, while 등의 명령 키워드를 사용한다. 사실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비슷한 키워드로 반복문을 표현한다. for문 for문은 기본적인 반복문으로, 반복 범위를 지정하여 반복을 수행한다. for looper in [1,2,3,4,5]: print("hello") >>>hello >>>hello >>>hello >>>hello >>>hello for문으로 반복문을 ..
The Basics of Python Chapter04-조건문 23.09.11 1. if - else 문 파이썬에서는 조건문을 사용하기 위해 if, else, elif 등의 명령 키워드를 사용한다. 먼저 if - else 문에 대해 알아보자. 기본 문법은 다음과 같다. if : # if를 쓰고 조건 삽입후 ':' 입력 # 들여쓰기 후, 수행 명령 입력 # 같은 조건에서 실행일 경우 들여쓰기 유지 else: # 조건이 불일치할 경우 수행할 명령 입력 # 조건 불일치 시 수행할 명령 입력 # 조건 불일치 시 수행할 명령 들여쓰기 유지 if 문 기억해야할 3가지 - if 뒤에는 참과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조건문이 들어가야 하고, 조건문이 끝나면 반드시 콜론(:)을 붙여야 한다. - 들여쓰기를 사용하여 해당 조건이 참일 경우 수행할 명령을 작성한다. 명령이라는 것을 거창..
The Basics of Python Chapter03 연습 문제 23. 09. 09 중간중간 틀린 것이나, 헷갈리는 것, 알아둬야할 만한 것들만 기록 해두겠다 다음 코드를 실행한 후, 2018과 "2018"을 입력했을 경우 알맞은 실행결과는? admission_year=input("입학 연도를 입력하세요: ") print(type(admission_year)) >>> , #파이썬에서 input 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을 문자열(str) 형태로 반환한다. 다음 코드의 결과값은? a = [3, 2, 1, 4] b = a.sort() print(a, b) >>> [1,2,3,4] none 여기서 유념해야할 점은 sort() 이다. 파이썬에서 sort() 함수는 리스트를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sort() 함수는 원본 리스트 자체를 변경하고, 반환 값은 없다..
The Basics of Python Chapter03 (05), 23.09.05 리스트의 메모리 관리 방식 이전 포스트에 이어 이차원 리스트를 다시 살펴봅니다. 이차원 리스트를 사용하면 흥미로운 현상을 볼 수 있는데, 먼저 다음 코드를 확인해 본다. kor_score=[49, 79, 20, 100, 80] math_score=[43,59,85,30,90] eng_scroe=[49, 79, 48, 60, 100] midterm_score=[kor_score, math_score, eng_scroe] print(midterm_score) math_score[0]=1000 print(midterm_score) >>>[[49, 79, 20, 100, 80], [43, 59, 85, 30, 90], [49, 79, 48, 60, 100]] >>>[[49, 79, 20, 100..
The Basics of Python Chapter03 (01~04) 23.09.01 표춘입출력함수 input()와 print() 간단하니 넘어가도록하자. 인풋으로 입력받는 그 값의 자료형은 문자형이 된다는 것만 기억해두자 리스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료형이며 배열(array)이라고도 하는 list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한개의 변수에 여러 값을 할당하는 방식을 일반적으로 배열, 파이썬에선 리스트라고 한다. 파이썬에서는 리스트처럼 여러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할당하는 기법을 시퀀스 자료형이라고 한다. 시퀀스 자료형은 여러 자료를 순서대로 넣는다는 뜻이다. 리스트는 하나의 자료형으로만 저장하지 않고, 정수형이나 실수형 같은 다양한 자료형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썬에서는 리스트라고 하지만 C나 자바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배열이라는 표현을 더 많이 사..
The Basics of Python Chapter 01~02 23.08.30 input() 함수에 대하여 celsius=float(input("섭씨온도를 입력하세요: ")) fahrenheit=((9/5)*celsius)+32 print("섭씨온도:", celsius, "화씨온도: ", fahrenheit) input() 함수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문자열 형태로 반환한다 그래서 위와 같은 상황에선, float() 함수를 이용하여 실수형으로 바꿔 주어야한다. a="3.5" b=4 print(a*b) 실행 결과가 이렇게 나온 이유는 파이썬에서 문자열과 정수간의 곱셈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파이썬에서 문자열과 정수를 곱하면, 해당 문자열을 반복하여 새로운 문자열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3.5" * 4는 "3.5"라는 문자열을 4번 반복한 "3.53...
Python 기본 공부하기에 앞서 python 의 기본적인 공부를 다시 시작한다. 대학교 1학년 때 수업으로 아주 얕게나마 들었다. 그 때 사용한 책을 지금 다시 기본학습에 사용할 것이다. 도서명: 데이터 과학을 위한 파이썬 프로그래밍 지은이: 최성철 출판사: 한빛 아카데미 기본적인 개념이 이미 얕게나마 잡혀있기 때문에 모르는 부분만 이곳에 기록할 예정이다. 질리지 않는다면 말이다.
000 엑세스 이론서 3. 출력 처리 작업 -section 3 Q) '출제유형.accdb' 파일을 열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토록 구현하시오. 1. 폼에서 '인쇄(cmd인쇄) 버튼을 클릭하면 보고서를 미리보기 형태로 출력되도록 프로시저를 작성하시오. - 폼의 현재 '고객ID(txt고객ID)'에 해당하는 레코드만 출력되도록 설정하시오 DoCmd.OpenReport "고객별대여현황", vcViewPreview, "고객ID='" & txt고객ID & '"" 2. 폼에서 '출력(cmd출력) 버튼을 클릭하면 보고서를 미리보기 형태로 출력되도록 프로시저를 작성하시오. - 보고서의 '대여일자'가 폼의 조회날짜(txt 시작일, txt 종료일) 기간 안에 포함된 레코드만 출력되도록 설정하시오. Docmd.OpenReport "대여목록", vcViewPreview, "대여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