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asics of Python Chapter03 연습 문제
23. 09. 09 중간중간 틀린 것이나, 헷갈리는 것, 알아둬야할 만한 것들만 기록 해두겠다 다음 코드를 실행한 후, 2018과 "2018"을 입력했을 경우 알맞은 실행결과는? admission_year=input("입학 연도를 입력하세요: ") print(type(admission_year)) >>> , #파이썬에서 input 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을 문자열(str) 형태로 반환한다. 다음 코드의 결과값은? a = [3, 2, 1, 4] b = a.sort() print(a, b) >>> [1,2,3,4] none 여기서 유념해야할 점은 sort() 이다. 파이썬에서 sort() 함수는 리스트를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sort() 함수는 원본 리스트 자체를 변경하고, 반환 값은 없다..
The Basics of Python Chapter03 (05),
23.09.05 리스트의 메모리 관리 방식 이전 포스트에 이어 이차원 리스트를 다시 살펴봅니다. 이차원 리스트를 사용하면 흥미로운 현상을 볼 수 있는데, 먼저 다음 코드를 확인해 본다. kor_score=[49, 79, 20, 100, 80] math_score=[43,59,85,30,90] eng_scroe=[49, 79, 48, 60, 100] midterm_score=[kor_score, math_score, eng_scroe] print(midterm_score) math_score[0]=1000 print(midterm_score) >>>[[49, 79, 20, 100, 80], [43, 59, 85, 30, 90], [49, 79, 48, 60, 100]] >>>[[49, 79, 20, 100..